로마서 5장 20~21절에는 율법과 범죄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율법이 들어온 것은 범죄를 더하게 하려
함이라 그러나 죄가 더한 곳에 은혜가
더욱 넘쳐나니
이는 죄가 사망안에서 왕노릇 한 것 같이
은혜도 또한 의로 말미암아 왕 노릇하여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영생에 이르게 하려 함이라.'

우리는 '법'이라는 것이 있기 전에는
어떤 행동을 하더라고 죄인지 알수
없습니다.
(법이 없는 원시부족시대에 살인은
죄가 아니라고 볼 수 있죠.)
그러나 법이 만들어지면서 우리는
우리의 어떤 행동이 죄가 되는지를
알게 됩니다.
즉, 율법이 주어지면서 우리는 죄가
무엇인지 알게 되었고 이를 지켜야
하는 것으로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율법을 몽학선생이라
합니다.)
그런데 율법을 아는 피조물들은 한
발짝 더 나가서 그 율법을 지키면서
본인이 선하고 하나님이 요구하는
수준에 이르렀다고 잔신만만하게
스스로를 위로합니다.
그것이 20절 '범죄를 더 하게 하려
함이라'는 말씀의 의미입니다.
이러한 증폭되는 피조물의 죄 가운데
하나님의 은혜가 도래하게 되면
영생에 이르는 구원이 완성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6장 1절의 말씀처럼 '은혜를
더하게 하려고 죄에 거하겠느냐'라며
율법을 이기는 은혜를 사모하라는
말씀으로 마무리를 하는 것입니다.
율법시대에 우리는 그것을
지키며 구원에 이르려는 노력을
한 시기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피조물인 인간은
그 율법을 완벽하게 지키려고
더 위선적인 피조물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예수 은혜의 시대에 사는 우리는
율법을 더 완벽하게 지키는 하나님
기만의 죄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이 율법주의는 지금 우리 안에
있습니다. 자기의를 쌓고 그 의로
스스로 만족하고 타인의 칭찬을
요구하는 것이 현대의 율법주의
입니다.)
질그릇인 우리가 보배인 주님의
은혜를 드러내는 삶으로 나아가야
함에도
자신을 기만하는 자기城
쌓기에 너무 분주합니다.
#율법#몽학선생#자기성#범죄